본문 바로가기
Architecture and Art

이타미 준(유동룡), 재일동포 건축가, 예술가

by 하프시계 2022. 5. 3.
반응형

 

화가이자 건축가 이타미 준

유동룡, 이타미 준 (Jun Itami)

 

1. Information

[1937~2011]

건축과 예술의 관계, 한. 일 국경을 넘나드는 예술가의 삶, 그 자체를 보여주는 이타미 준.

 

1937년 도쿄에서 출생한 재일교포 건축가로, 본명은 유동룡(庾東龍)이다. 1937년 일본 도쿄에서 태어나 시즈오카현 시미즈에서 유년기를 보냈다. 1968년 무사시 공업대학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해 이타미 준 건축연구소를 설립했다. 당시 자신의 성인 '유(庾)'가 일본 활자에 없어 사업상 불편을 겪자 생애 처음 이용한 공항의 이름인 '이타미'와 절친한 음악가 길옥윤의 '윤(潤)'에서 따와 이타미 준이라는 예명을 지었다. 

일본에서 태어나고 자랐으나 평생 한국 국적을 유지하며 자신만의 한국성을 표현했던 그는 건축물이 세워질 장소의 고유한 풍토, 지역성을 살려 인간의 삶에 어우러지는 건축을 추구했다. 국내에서는 충남 아산의 '온양 미술관'(1982)을 설계했으며, 특히 디아스포라 건축가로서 자신의 정체성과 맞닿아 있는 제주도에서 건축 혼을 불태우며 '포도호텔'(2001), '수·풍·석 미술관'(2006), '방주교회'(2009) 등 대표작을 남겼다. 

2003년 동양인 최초로 프랑스 국립 기메 미술관에서 개인전을 열고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2005년 프랑스 예술문화훈장인 슈발리에, 2006년 김수근 문화상, 2010년 일본 무라노 도고상을 수상했다. 또 생전 화가로도 활동해 이우환, 곽인식 등 모노하(物派) 화가들과 교류하며 영향을 받은 작품들을 남기기도 했다. 1960~70년대 일본에서 발생한 모노하는 물체의 있는 그대로의 상태를 제시해 물체와 세계의 관계성을 파악하는 것을 중시한 현대미술 운동이다. 

2019년에는 그의 생애를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 <이타미 준의 바다>(정다운 감독)가 국내에서 개봉했다.

 

[네이버 지식백과] 이타미 준

 

[건축가, 이타미 준]

이타미 준은 어린 시절을 일본 시즈오카에서 보냈고, 여행을 하고 많은 다른 예술가들을 만나면서 건축계에 입문했다. 사물에 대한 깊은 통찰력으로, 그는 촉각과 그림을 매개로 하여 건축을 배우고 표현했다. 산업사회의 획일화된 제도에서 이타미 준은 반 근대적 성향을 가진 실천적 현대 건축을 추구했고, 산업사 회보다 건축의 순수성을 추구했다. 그는 백자, 불상, 그리스 파르테논 신전에 매료되었는데, 그는 인간의 사색을 강화시키는 건축의 순수함 속에서 발견하였다. 이타미 준은 매끈하고 차가운 현대 건축물이 넘쳐나는 가운데 소재가 원시적인 느낌을 주며 무겁고 원시적인 건축을 추구했지만, 만년의 제주 프로젝트에서는 평화롭고 차분한 건축물을 제공한다. 제주는 시즈오카에 이어 그의 두 번째 고향이었다. 두 곳 모두 바람이 불어오는 바다를 마주하고 있다는 점에서 상징적이다. 이타미 준의 작품은 그의 건축물이 살아 있는 자연의 힘인 바람을 만나면서 절정에 이른다. 그의 핵심 작품인 '물, 바람, 돌 3대 미술관'은 자연에 끊임없이 반응하는 건축의 발전하는 아름다움을 대변한다.

 

"내가 전하고자 하는 것은 건축을 매개로 자연과 인간 사이에 드러나는 세계, 즉 새로운 세계를 보는 것이고 보이지 않는 세계를 보는 것이다."
"건축은 사람들의 경건함이며, 자연에 있는 사람들을 위해 더 나은 삶을 위해 헌신하는 또 다른 자연이다."

 

[글쓴이 생각]

이타미 준의 건축을 보면, 예술가가 건축을 하면 이런 작품이 나오는구나, 생각이 든다. 끊임없이 자신과 자연과 세계의 관계성을 탐구하는 단단한 그의 건축 철학을 알고 건축물을 보면 하나의 작품을 보는 느낌이 든다. 이타미 준의 주요 작품들이 제주도에 있기 때문에 한국인이라면 꼭 가서 건축물을 직접 체험했으면 좋겠다. 2019년도 개봉한 <이타미 준의 바다> 영화는 이타미 준의 생애를 다룬 영화다. 이 영화를 보면 이타미 준의 생애에 대해 더 자세히 알 수 있다. 2011년, 제주도에 건축 작품들을 남기고 떠났다. 하지만 이타미 준, '유동룡'의 건축 정신은 그의 딸인 유이화 건축가가 이어받아 서울 서초에서 건축가로 활동하고 있다. 

 

 

참고자료

MMCA

 

2. 건축 철학

1937년 일본 동경 출생

1964년 무사시 공업대학 건축학과 졸업

1968년 Jun ITAMI Architect a research Institute설립

2011년 별세

 

[유동룡의 건축 철학]

건축은 심연(深潤)이다. 때로는 정념적이고 때로는 자극적이다. 무력하게 보여도 건축이 각각의 문화, 예술을 이끄는 힘을 품고 있음은 분명하다. 또 건축은 다양한 사회의 요구와 감각의 집약체이다.

현재 국제화가 진전됨에 따라 다양한 문화들이 글로벌이라는 미명 하에 균질화되고 획일화되어가고 있다. 건축도 예외가 아니다. 이러한 현실에서 건축과 떼려야 뗄 수 없는 그 나라의 문화, 전통, 정신문화, 그리고 풍토를 되돌아보고 각 지역의 고유한 문화와 전통의 맥락 속에서 조용히 탐구한다면 필연적으로 지역적이고 보편적인 건축의 뿌리 또는 핵에 다가갈 수 있다고 믿는다. 창조의 주체로서, 살아있는 사람들의 온기와 그 생명의 파악을 작품의 밑바탕에 깔지 않는다면 역사 속에서 진실로 새로운 리얼리티를 갖지 못할 것이다. ‘진정한 인터내셔널 오리지널리티’란 그 지역의 고유한 문화에서 발현되는 상상이 아니라면 그다지 의미를 갖지 못한다.

 

제주도의 핀크스 뮤지엄(4개의 미술관)은 자연 그 자체가 컬렉션이다. 각 건축물에 소장된 작품은 자연이라는 컬렉션의 부록과도 같다. 내가 전달하려 했던 것은 건축을 매체로 하여 자연과 인간 사이에 나타나는 세계, 즉 새로운 세계를 보는 것이며 보이지 않는 세계를 보는 것이다. 사물과 공간이 서로 호응하여 공백이 생겨난다. 그리고 투명한 것과 불투명한 것,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이 한데 뒤엉켜 ‘필연적인 현상’이 순간을 포착한다는 발상이다. 이러한 현상을 그 장소로 불러들이기 위한 매개 역할을, 이 건축물은 충분히 하고 있는가에 대한 현대건축으로서의 구체(具體)이기도 하다.

 

철과 유리, 콘크리트로 구성된 상자 모양의 모더니즘 건축, 모더니즘 공간은 이미 변화하고 있는데 이러한 모더니즘 건축이 확립된 지도 벌써 100년이 된다. 지금도 모더니즘 건축은 끊임없이 탄생하고 국제경기가 아닌 이상 순식간에 반 모더니즘 건축으로 진전되는 일은 없으며 지금도 고객이 존재하는 한 현재도 모더니즘은 주류인 셈이다. 반근대주의를 염두에 두면서도 솔직히 내 경우는 아직 정념, 전통, 역사적 문맥이 함께 어우러진 모더니즘 건축을 고수하는 편이다.

 

2002년부터 나의 건축 기법은 눈에 띄게 변화했다고 할 수 있다. 1970년대만 해도 모더니즘이나 조형주의 작품이 많았는데 ‘온양 민속 박물관’(1982년)에 이르러 반근대주의를 시도했다. 처음부터 흙과 기와를 이용한, 야성미를 지닌 토착적 건축을 지향했던 것은 아니다. 너무나도 예산이 적어 고심을 거듭하던 중 그곳의 지표가 붉은색을 띤 황토인 데다 그 양 또한 많았고 주위의 민가가 흙벽돌집이라는 사실을 발견했다. 장인에게 상의를 하니 벽돌을 흙으로 만들자는 답변이었다. 당시 그 지역에는 시공사가 없어서 할 수 없이 직접 착공해야만 했다. 건축계는 80년대부터 ‘가벼운 건축’이 유행했다. 그러나 나는 ‘조각가의 아틀리에’(1985), ‘각인의 탑’(1988), ‘석채의 교회’(1991), ‘M 빌딩’(1992) 등 돌을 다양하게 이용한 ‘무거운 건축’을 작업해왔다.

 

90년대에 접어들어 돌, 목재, 대나무 등 다채로운 소재를 건축에 활용했는데 그중 ‘먹의 공간’(1998년)은 대나무 사이로 스며드는 빛줄기를 의식했다. 흑피 철판과 대나무의 공명을 의도한 것이다.

 

건축물은 그저 짓기만 하면 되는 것이 아니다. 자신을 주체로 삼아 건축물을 매체나 중간지로 인식할 때 어떤 세상이 펼쳐질 것인가, 어떤 여백이 생겨나는가, 어떻게 조화되는가, 반대로 어떤 대립과 복합이 일어나는가에 대해 고민해야 한다. 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전반에 걸쳐 ‘관계항’을 주제로 건축물에 대해 고민하기 시작했다. ‘관계항’에 대한 고민의 결과 탄생한 것이 ‘핀크스 멤버스 클럽하우스’(2001), ‘나의 작업실’(나의 별장, 2007)로 모더니즘 조형주의와 결별을 선언한 작품이다. ‘무라노 도고상’을 수상한 ‘물(水) 미술관’, ‘바람(風) 미술관’, ‘돌 (石) 미술관’(2006), ‘두 손 미술관’(2007)의 네 군데 미술관 도 이러한 건축론을 토대로 탄생한 작품이라고 하겠다. 예를 들어 바람의 미술관은 바람을 컬렉션 한다. 이 건축물은 마치 악기와 같아서 강한 바람이 몰아칠 때면 모든 나무판자 사이의 틈새(10mm)에서 엄청난 소리가 울리고 약한 바람에는 희미하게 연주하는 그야말로 바람의 노래이며 바람의 건축물이기도 하다.

 

손으로 그리는 드로잉 작업은 앞으로도 계속할 생각이다. 아날로그에 집착하며 컴퓨터 화면은 될 수 있는 한 보지 않으려 한다. 거기에는 감성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감성은 직감이고 스스로 다지지 않는 한 생겨나지 않는다는 생각에는 변함이 없다. 무엇을 밑바탕에 둘 것인가? 사람의 생명, 강인한 기원을 투영하지 않는 한 사람들에게 진정한 감동을 주는 건축물은 태어날 수 없다. 사람의 온기, 생명을 작품 밑바탕에 두는 일. 그 지역의 전통과 문맥, 에센스를 어떻게 감지하고 앞으로 만들어질 건축물에 어떻게 담아낼 것인가? 그리고 중요한 것은 그 땅의 지형과 ‘바람의 노래’가 들려주는 언어를 듣는 일이다. 사람의 생명은 무한하지 않다. 유한의 생명이기 때문에 더더욱 거기에는 미의식이 생겨난다. 미의식의 근저에는 비애, 슬픔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들의 마음이 미묘하게 흔들리고 새로운 미의식이 생겨나는 것이다.

 
 
 
 
 

2011년 11월 8일, 유동룡 선생(이타미 준)

 

 
 
 
 
 
 
 
건축문화재단 발췌

 

 

3. 대표 건축물

이타미 준을 대표하는 건축물들이 제주도에 있습니다. 제주도는 이타미 준이 자신의 '제2의 고향'이라고 부를 정도로 애정이 많은 장소입니다. 일본에서 자라온 환경이 제주도와 비슷한 환경이었다고 합니다.

 

'포도 호텔' (2001)

'수풍석 뮤지엄' (2006)

'방주 교회'(2009)

 

 

건축물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글을 참고해주세요.

2022.05.02 - [Living Environment] - 제주도 건축여행, 이타미준과 안도 다다오

 

제주도 건축여행, 이타미준과 안도 다다오

제주도 건축여행 제주도를 여행한다면 '건축'을 테마로 잡고 여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도심에서 보는 건축과는 다른, 자연과 공존하는 여유로운 건축물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제주도의

halfclock.com

 

 

참고자료

한국문화원

 

[2022.05.03. 업데이트]

반응형

댓글